[대한뉴스통신/전영태 선임기자] 초의선사는 조선 후기 대선사로서 우리나라 다도(茶道)를 정립한 분으로 꼽히며 초의를 다성(茶聖)이라 부른다.
초의선사는 1786년(정조 10년) 전남 무안군 삼향면 왕산리에서 태어났으며, 성은 장(張)씨 법명은 의순(意恂), 자는 중학(中學)이며 그의 가계를 알 수 있는 자료는 거의 없다.
초의(장의순) 나이 15세에 남평 운흥사에서 민성을 은사로 삼아 출가하고 19세 때 영암 월출산에 올라 해가 지면서 바다 위로 떠오르는 보름달을 바라보고 깨달음을 얻었다 한다.
그후 대흥사에서 완호 스님를 계사로 구족계를 받고 초의라는 당호를 얻은후 불교의 심장을 수학하고 대교 과정을 마치게 되었으며 이후 운수행각(雲水行脚)으로 여러 선지식을 찾아다니며 정진해 경(經)·율(律)·론(論) 모두에 통달했다.
강진에서 귀양살이하던 다산 정약용을 만난 초의는 자신보다 25세 연상인 다산에게 유학과 시문을 배우면서 함께 월출산 백운동에 들어가 월출산의 비경을 화폭에 담아 ‘백운도’라고 명명하기도 했다.
특히 당시 침체한 불교계에 새로운 선풍을 일으킨 대선사이자 명맥만 유지해 오던 한국 다도를 중흥시킨 다성으로서 지금까지 추앙을 받고 있으며 시, 서, 화에 능통하여 5절이라 일컬어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