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뉴스통신/전영태 선임기자] 왕인박사는 백제 제14대 근구수왕 서기 375~384년경에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동구림리 성기동에서 탄생하였습니다.
8세 때 월출산 주지봉 기슭에 있는 문산재에 입문하시어 유학과 경전을 수학하고, 문장이 뛰어나 18세에 오경박사에 등용되었습니다.
이 무렵 백제는 고구려의 계속된 침략으로 국가의 존망이 위태로운 상태였으며 17대 아신왕은 지금의 일본인 왜와 수교를 맺고 태자전지를 일본으로 보냈습니다.
왜왕 응신은 백제의 태자전지가 도왜한지 7년 만에 백제의 태자를 다시 고국으로 돌려보내면서 훌륭한 학자를 청하였습니다.
백제 17대 아신왕 때에 왕인은 일본 응신천왕의 초청을 받아 영암의 상대포에서 배를 타고 일본으로 간 것으로 구전되어오고 있습니다.
당시 왕인은 32세이었으며, 상대포는 국제 무역항으로 신라의 학자 최치원이 당나라로 유학을 갈 때에도 이곳에서 배를 타고 떠났다고 전해오고 있습니다.
왕인은 논어 10권과 천자문 1권을 가지고 도공, 야공, 와공 등 많은 기술자들과 함께 도일하여 일본인들에게 글을 가르쳐 학문과 인륜의 기초를 세웠으며, 일본가요를 창시하고 기술 공예를 전수하여 일본인들이 큰 자랑으로 여기는 아스카문화의 원조가 되어 일본사회의 정치 경제와 문화 예술을 꽃피웠습니다.
왕인박사의 묘지는 일본 오사카부 히라카타시에 있으며, 1938년 5월 오사카 사적 제13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왕인박사의 탄생지인 영암군 군서면 동구림리 성기동에는 왕인박사 유적지를 정화하여 위패와 영정을 봉안하고 매년 양력 4월 초에 왕인박사 추모제를 봉행하고 있습니다.
|